(1) RAID 0
Striping (스트라이핑) 방식입니다.
빠른 입출력을 위해 데이터를 분산해서 저장시킵니다.
하지만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데이터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RAID 1
Mirroring (미러링) 방식입니다.
말 그대로 하나의 디스크에 기록을 하면 다른 한 디스크에도 똑같이 기록해주는 것 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디스크를 통해 복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 문제로 인해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5) RAID 4
block 단위로 스트라이핑을 하고 하나의 디스크는 에러가 생겼을 때를 대비해 parity(패리티) 정보를 저장해놓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에러가 났을때 패리티 정보를 바꿔줘야하는데 동시에 여러 문제가 생기면 하나의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가 다 있다 보니까 디스크에 무리가 갈수 있다. 그러면 병목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한게
RAID 5 이다.
(6) RAID 5
block 단위로 스트라이핑을 하고 에러가 생겼을 때를 대비해 parity(패리티) 정보를 저장해놓는 방식이다.
하지만 하나의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놓는게 아니라 사진처럼 각각 다른 디스크에 패티리 정보를 넣어놨기 때문에
디스크에 무리가 안생겨 병목현상이 안일어난다.
(7) raid_dp
패리티 디스크가 하나의 RAID그룹에 두개가 들어간다. 여기에 RAID-DP를 적용하면 데이터디스크 6개+패리티디스크 2개가 되므로 결국 디스크 한 개의 용량만큼 가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RAID-DP를 적용할 시에는 데이터디스크 12개+패리티디스크 2개를 하나의 RAID그룹으로 묶는 것이 권장 사항이다.
'스토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파이드 스토리지 란? (0) | 2022.02.18 |
---|---|
SAN 스위치란?? (0) | 2022.02.17 |
RAID 이해하기 (2) | 2021.12.28 |
스토리지/ DAS,NAS,SAN의 정의 (0) | 2021.12.28 |